전체 글30 [Spring] Locale 사용하기 현재 프로젝트는 한국어/영어를 지원한다.기존에는 sessionLocale을 사용해서 개발했었는데, 세션 만료(로그아웃 등)가 되면 사용자가 설정해둔 Locale도 사라져서 기본값으로 표시됬다. sessionLocale을 cookieLocale로 변경했다. 오늘은 그 과정에서 스터디하면서 알게된 Locale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.LocaleResolver스프링은 LocaleResolver 객체를 이용해서 웹 요청과 관련된 Locale을 추출하고, 이 Locale 객체를 이용해서 알맞은 언어의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국제화를 지원한다. @Beanpublic LocaleResolver localeResolver() { /* * 로그아웃 시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가 유지되도록 쿠키로 저장 .. 2024. 4. 2. [GCP] Google Source Repository에서 클론하기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GCP(Google Cloud Platform)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다.클라우드는 아에 처음이었어서 많이 해맸었다. 작업 인원이 변경됨에 따라 소스 리포지토리 연동을 도와드렸다. 클론하는 방법을 헤메서 나중을 위해 정리해본다. 테스트를 위해 무로 크레딧으로 진행했다. (90일간 체험할 수 있다.)우선 먼저 Git을 설치한다. (설치 과정은 생략한다.) (회사의 OS환경은 윈도우이지만, 테스트 환경은 Mac이다.) Git이 잘 설치되었는지 터미널에서 확인한다.git --version??언제 설치했는지 모르겠는데 이미 설치 되어 있었다. 구글 소스 리포지토리 사이트로 이동해서 클론 버튼을 눌러준다. 클론 시 인증이 필요하다. 인증 방법은 3가지가 있다.1. SSH 인증2. Goo.. 2024. 3. 21. 이전 1 ··· 5 6 7 8 다음